DBro 결과 코드
코드 | 설명 |
0 | 성공 |
1 |
타임아웃 (발송에 대한 결과수신대기 시간이 record_life_time 설정 값을 초과한 경우) |
A | 핸드폰 호 처리중 |
B | 음영 지역 |
C | power off |
D | 메시지 저장개수 초과 |
2 | 잘못된 전화번호 |
a | 일시 서비스 정지 |
b | 기타 단말기 문제 |
c | 착신 거절 |
d | 기타 |
e | 다우기술 자체 형식 오류 |
f | 다우기술 자체 형식 오류 |
g | MMS 서비스 불가 단말기 |
h | 핸드폰 호 불가 상태 - 다우기술에서 삭제 처리한 건 |
i | SMC 운영자가 메시지 삭제 |
j | 이통사 내부 메시지 Que Full |
k | 이통사에서 spam 처리 |
m | 다우기술에서 Spam 처리한 건 |
o | 메시지의 길이가 제한된 길이를 벗어난 경우 |
p | 폰 번호가 형식에 어긋난 경우 |
q |
필드 형식이 잘못된 경우 (예 : 데이터 내용이 없는 경우) |
x | MMS 콘텐츠의 정보를 참조할 수 없음 |
v | 발신번호 미등록 차단 상태 |
w | 발신번호 세칙 위반 오류 |
z | 처리되지 않은 기타 오류 |
스팸 차단 부가서비스의 경우 연령 제한 없이 전 고객 대상 신규/명의변경/기기변경 시 자동가입이 되며 자동가입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고객님께서 가입상태를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.
스팸 차단 된 문자 내역을 보시길 원하신다면 통신사 별로 아래 방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SKT'T스팸필터링' 어플 다운 또는 T world(http://www.tworld.co.kr) 접속> 통합검색창에 '스팸필터링' 검색> 설정>휴대폰 본인인증>스팸내역조회
KT올레 홈페이지(http://www.olleh.com) 접속> 통합검색창에 '스팸차단서비스' 검색 >좌측상단에 스팸메세지함
LGU+엘지 유플러스 홈페이지 (http://mobile.uplus.co.kr) 접속>개인>모바일>편의서비스>통화보호>스팸차단>스팸내역 조회
이통사까지 전달된 경우는 최종착신 망 정보가 tran_net 필드에 아래처럼 채워집니다.

최종착신 망: SKT / KT / LGT
tran_rslt는 tran_status 값이 3인 경우에만 최종 완료된 상태이며 "0" – 성공, "1" – 전송실패, "2" – 잘못된 전화번호 등의 값을 갖습니다. (결과코드 표 참조 )
전송된 메시지에 대하여 결과가 수신되었을 때에는 (상태변화 2->3) 결과가 도착할 때, DBRO.receiver 에 다음과 같은 패킷을 전송합니다.
tran_pr 및 code 는 모두 readable character로 되어 있으며, space는 ascii code: 0x20 입니다. UDP 결과 알림은 보낸 메시지에 대한 결과가 도착했을 때에만 알려오며, 처음 전송 시 없는 망식별번호에 의한 에러(상태변화 1->3)는 알리지 않습니다.
일반적으로 em_tran 에 있는 레코드 수는 5만개 이내를 권장합니다. 더더욱 빈번하다면, 1 만개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. 때문에, 일정시간이 지난 레코드들에 대해서 가장 빈번한 입출력이 일어나는 em_tran 에서 다른 테이블로 옮기도록 정책을 세우는 것이 좋은데 환경 설정파일에서 다룬 두 값으로 정책을 결정합니다.
레코드는 결과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tran_date 에 해당하는 날짜에서 일정한 시간 (DBRO.recordlife; 단위: 시간)이 지나면, em_tran 테이블에서 em_log_YYYYMM 테이블로 옮겨집니다.
로그 테이블은 tran_date 의 년/월 에 해당하는 테이블로 옮겨지게 되며, 테이블이 없어서 실패가 된 경우에는 테이블을 작성하고 다시 옮깁니다. DBRO.recordlife 값이 0이면 옮기지 않습니다. 로그 테이블 또한 em_tran과 똑같은 scheme으로 되어 있으므로, 로그 테이블 참조 시 em_tran 처럼 다루면 됩니다.
만약, 어떤 이유로 em_tran 에서 모든 일을 처리하도록, 로그테이블로 옮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db_nomove= 1, db_nobatch= 1으로 설정하면 됩니다.
댓글
댓글 0개
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.